21세기 평화, 기술, 공존을 위한 아키텍처

서론: 역사의 종말에서 복합 위기(폴리크라이시스)로

21세기의 첫 25년(2001년~2025년)은 냉전 종식 후 국제 질서가 체계적으로 해체되어 가는 시대로 기억될 것이다. 당초 세계화가 가져올 것이라던 낙관적인 미래상은 지정학적, 경제적, 기술적 충격이 서로 연쇄적으로 증폭되는 ‘복합 위기’의 현실로 변모했다. 냉전 시대는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동서 대립이라는 명확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 종식 후 국제 사회는 새로운 질서를 계속 모색해왔다. 그러나 그 모색은 결론을 보지 못한 채, 세계는 새로운 불안정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본 보고서의 핵심 논점은 현대 세계가 직면한 핵심 과제가 고도로 통합된 글로벌 경제 시스템과 파편화되고 있는 지정학적 상황 사이의 괴리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괴리를 관리하고, 무질서한 경쟁에서 ‘관리된 공존’의 틀로 전환하기 위한 통합된 아키텍처를 제안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보고서는 현대 국제 질서에 존재하는 주요 3가지 균열에 대처하기 위한, 상호 보강하는 통합적인 ‘타개책’을 제시한다. 이러한 제안은 2001년부터 2025년까지의 역사적 분석에 기반하여, 현대의 복잡한 과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처방전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1부: 붕괴하는 질서(2001년~2025년): 복합 위기 해부학

본 섹션에서는 현대 글로벌 환경을 정의하는 주요 사건과 구조적 변화를 추적하고, 필수적인 역사적 분석을 제공한다. 일극 집중의 시대에서 현재의 다극적 대립 상태에 이르는 인과 관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1.1 9.11 쇼크와 일극 집중의 과잉 확대(2001년~2008년)

2001년 9월 11일의 동시 다발 테러는 국제 안보의 풍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국가 간 분쟁에서 비국가 주체와의 싸움, 즉 ‘테러와의 전쟁’으로 세계의 초점이 이동했다. 이 사건은 미국의 일방주의적 행동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된 한편, 테러 대책에 관한 전례 없는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새로운 법적 틀의 창설로 이어졌다. 유엔은 회원국에 대해 테러 대책에 관한 다자간 조약의 준수를 의무화하는 등 국제적인 결속이 나타났다.

그러나 9.11에 대한 대응, 특히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의 전쟁은 미국의 군사적·경제적 자원을 현저하게 소모시켰다. 이로 인해 다른 긴급한 지구적 과제에서 주의와 자본이 벗어나, 결과적으로 세계적인 힘의 균형의 상대적인 변화를 가속화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

이 시기의 사건들은 국제 질서에 심각한 역설을 낳았다. 테러라는 공통의 위협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다자간 협력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그 후의 미국의 전략적 대응, 즉 예방 전쟁이나 일방주의적 행동은 미국 자신이 오랫동안 옹호해 온 국제적인 규범이나 제도 그 자체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행동은 주권 국가의 지위 저하라는 세계화의 흐름과 맞물려 국제법의 구조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미국이 보여준 ‘규칙에 기반한 질서’의 선택적 적용이라는 전례는, 후에 러시아와 같은 수정주의 국가가 자국의 세력권을 주장하고, 기존 국제법의 틀 밖에서의 행동을 정당화할 때 이용되는 규범적인 진공 지대를 낳았다. 이리하여 ‘테러와의 전쟁’ 시대는 2020년대의 지정학적 도전의 씨앗을 뿌린 것이다.

1.2 금융 위기와 지정학의 대두(2008년~2016년)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문제에서 비롯되어, 대형 투자 은행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으로 전 세계에 연쇄적으로 퍼졌다. 이 위기는 서방 국가들의 금융 모델의 파멸적인 실패를 드러내고, 그 경제적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현저하게 손상시켰다. 선진국 경제는 이 위기를 기점으로 성장률 저하, 설비 투자 억제, 그리고 생산성 둔화라는 장기적인 침체기에 들어섰다.

대조적으로, 중국은 국가 주도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으로 신속한 회복을 이루고, 위기 후 세계 경제에서 주요 성장 엔진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이 사건은 세계 경제의 중심이 아시아, 특히 중국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결정적으로 가속화했다. 위기 대응 과정에서 G20이 세계 경제 거버넌스의 주요 포럼으로 부상하여, 새로운 다극화의 현실을 반영했다. 그러나 G20은 위기 대응에서 적극적인 조타수 역할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다양한 경제 대국 간의 합의 형성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2008년 금융 위기는 단순한 경제적 사건이 아니라 지정학적 전환점이었다. 그것은 ‘워싱턴 컨센서스’로 대표되는 시장 원리주의 모델의 정당성을 흔들고, 중국과 같은 국가 자본주의 모델에 신뢰성을 부여했다. 이로 인해 무역, 투자, 통화 정책과 같은 경제적 수단이 국가 권력의 중심적인 도구가 되는 ‘지정학’이라는 새로운 경쟁의 무대가 생겨났다. 경제적 상호 의존은 과거에는 평화의 원천으로 여겨졌지만, 이 위기를 기점으로 잠재적인 분쟁의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성격을 바꾸었다. 중국은 그 증대된 경제력을 전략적 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여, ‘일대일로’ 구상 등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미국과의 무역·기술 마찰을 격화시켰다.

1.3 하드 파워의 회귀와 시스템의 파편화(2016년~2025년)

이 시대는 강대국 간 경쟁의 재연으로 특징지어진다. 미·중 간의 무역 마찰, 그리고 가장 첨예한 형태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이 그 상징이다. 이 침공은 국가 주권과 무력 불행사라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국제 질서의 근간을 흔드는 직접적인 도전이었으며, 러시아에 대해 전례 없는 규모의 경제 제재가 가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 인해 세계 에너지·식량 시장은 재편을 강요당하고, 세계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동시에 발생한 COVID-19 팬데믹은 이 파편화를 가속화하는 촉매 역할을 했다. 팬데믹은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회복탄력성(resilience)’, ‘리쇼어링(reshoring)’,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과 같은 움직임을 가속화했다.1 특히, 중요 분야에서 중국의 지배적인 역할과 과도한 의존이 초래하는 위험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2

이 시기의 사건들은 글로벌 시스템이 두 가지 다른 논리로 움직이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글로벌 경제의 ‘운영 체제’는 공급망과 금융을 통해 깊이 통합된 상태로 남아 있는 반면, 지정학의 ‘운영 체제’는 경쟁적인 블록으로 파편화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이 분열이 가장 폭력적인 형태로 나타난 것이며, 국가와 기업에 대해 경제적 효율성보다 지정학적 정합성을 우선하는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 팬데믹이 중국 중심의 공급망의 ‘취약성’을 보여주었다면, 우크라이나 전쟁은 경제적 상호 의존이 제재를 통해 ‘무기화’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러한 사건들이 결합하여, 순수한 경제 합리성에서 안보와 회복탄력성의 논리로, 세계적인 전략의 재계산이 촉진된 것이다.

1.4 디지털과 기후라는 가속 요인

이 25년을 특징짓는 또 다른 중요한 흐름은 인공지능(AI)의 기하급수적인 진화이다. AI는 틈새 기술에서 범용 기술로 변모하여, 생산성의 비약적인 향상을 약속하는 한편, 고용, 사회 결속, 그리고 안보에 심각한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동시에,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는 국제적인 최우선 과제가 되어, 협력과 대립의 새로운 무대를 낳고 있다. EU의 탄소 국경 조정 메커니즘(CBAM)과 같은 정책은 ‘탄소 누출’을 막으려는 시도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일종의 환경 보호주의로 간주되어, 새로운 무역 분쟁의 불씨가 되고 있다.

AI와 기후 변화는 각각 독립적인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 전체를 가속화하는 요인이다. AI는 생산과 권력의 수단을 재구축하고, 기후 변화는 물리적·경제적 환경 그 자체를 재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AI 플랫폼의 지배권이나 녹색 기술의 표준 설정 등, 기존의 지정학적 대립과는 다른, 새로운 비전통적인 경쟁 영역을 낳고, 국제 시스템에 더 많은 복잡성을 가져오고 있다.


제2부: 세계 안정을 잠식하는 3가지 균열

본 섹션에서는 사용자의 질문에서 특정된 3가지 구체적인 문제 영역에 대해, 제1부에서 얻은 통찰에 기반하여,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세한 분석을 수행한다.

2.1 불균형이라는 엔진: 경제적 불균형과 제로섬 사고

사용자가 우려하는 ‘파이 쟁탈전’은 주요국 간에 뿌리 깊게 존재하는 구조적인 불균형의 징후이다. 이 분석에서는 주요 강대국의 서로 다른 경제 모델을 해부한다.

  • 미국: 달러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에 의존한 소비 주도형 경제이며, 항시적인 무역 적자와 경상수지 적자를 안고 있다.
  • 중국: 국가 주도의 산업 정책, 관리된 환율 제도, 그리고 글로벌 제조업에서의 중심적인 역할을 원동력으로 하는 투자·수출 주도형 모델이며, 거액의 무역 흑자를 낳고 있다.
  • EU·영국·일본: 인구 동태상의 역풍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산업 경쟁력의 과제에 직면한 성숙 경제이며, 미·중의 양극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본은 특정 분야에서의 높은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수십 년에 걸친 임금 정체에 시달려왔다.

환율이라는 수단에는 한계가 있다. 본 보고서는 환율 조정이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주장한다. 국제결제은행(BIS)의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가치 사슬(수입품이 수출품의 중간재가 되는 구조)의 심화는 환율 변동이 무역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둔화시키고 있다.4 중국 경제가 글로벌 공급망에 깊이 편입되어 있기 때문에, 위안화의 평가절하는 중국 자신의 생산 비용을 상승시켜, 경쟁상의 우위를 제한적인 것으로 만들고 있다.

경쟁의 본질은 가격뿐만 아니라, 국가가 지원하는 근본적으로 다른 경제 전략 그 자체에 있다. 성공한 산업 정책과 실패한 산업 정책의 사례 연구 5, 그리고 세계무역기구(WTO)에서 계속되는 보조금이나 국유기업(SOE)을 둘러싼 분쟁은 이 점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경제적 균열의 핵심은 단순한 무역 불균형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충돌’에 있다. 자유 시장 모델과 국가 자본주의 모델이, 근본적으로 다른 규칙과 목적을 가지고 같은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 상황은 시장 메커니즘이나 단순한 정책 수단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체계적인 마찰을 낳고 있다. 이 차이를 인식하고, 그 상호 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협상의 틀이 필요하다. 관세나 보조금을 둘러싼 분쟁은 이 ‘파이 쟁탈전’이 이미 현실임을 보여준다. 플라자 합의와 같은 단순한 환율 조정은 공급망의 통합이 그 효과를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4 진짜 문제는 단기적인 주주 가치와 소비를 우선하는 경제 시스템(미국)과, 장기적인 국가 주도의 산업 능력과 시장 점유율을 우선하는 경제 시스템(중국)이라는, 근본에 있는 시스템의 차이이다. 따라서 해결책은 금융적인 지표를 넘어, 산업 경쟁 그 자체의 규칙에 발을 들여놓아야 한다.

표 1: 주요 강대국의 비교 경제 대시보드(2001년~2025년)

지표

대상국

2001년

2006년

2011년

2016년

2021년

2024년(예측)

실질 GDP 성장률 (%)

미국

1.0

2.7

1.6

1.7

5.9

2.5

중국

8.3

12.7

9.6

6.8

8.1

5.0

EU

2.1

3.4

1.7

2.0

5.3

0.8

일본

0.4

1.4

-0.1

0.8

1.7

1.0

경상수지 (GDP 대비 %)

미국

-3.9

-5.8

-2.8

-2.3

-3.6

-3.2

중국

1.3

9.3

1.8

1.6

1.8

1.5

EU (독일)

0.1

6.4

6.1

8.5

7.9

6.9

일본

2.1

3.9

1.9

3.9

3.0

3.5

단위 노동 비용 (2015=100)

미국

90.1

96.5

98.2

100.2

105.8

110.1

중국

115.2

98.7

95.4

101.5

103.1

104.5

EU (독일)

98.5

98.9

99.1

99.8

102.3

105.6

일본

106.3

102.1

104.5

99.7

99.5

100.2

에너지 자급률 (%)

미국

72

70

83

87

101

105

중국

94

88

85

84

82

80

EU

60

56

54

54

60

62

일본

12

11

6

8

11

13

주: 데이터는 IMF, 세계은행, OECD, EIA, 각국 통계국의 공표치를 기반으로 작성한 대표값. EU는 독일 데이터를 대표 사례로 사용.

2.2 파리야 국가의 딜레마: 수정주의 국가에 대한 대치와 재통합

본 섹션에서는 러시아를 사례 연구로 분석한다. 현재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 체제는 주요 경제국에 대해 역사상 가장 포괄적인 것이다.

  • 러시아에 대한 영향: 제재는 러시아로부터 수천억 달러 규모의 세입을 빼앗고, 중요 기술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경제는 수입 대체, ‘그림자 함대’에 의한 석유 수출, 그리고 중국이나 인도와 같은 비제재국으로의 무역 전환을 통해 강인함을 보이고 있다.
  • 세계에 대한 영향: 제재는 세계 에너지, 식량, 비료 시장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하고, 특히 개발도상국에 불균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과제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역사적인 선례를 분석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은 지속적인 국제적 압력과 국내의 역학이 결합하여 정치적 변화가 초래되고, 그 후에 세계 경제로의 신속한 재통합이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핵심은 정상화로 가는 길을 열어주는 명확한 정치적 최종 목표(민주주의)가 존재했다는 점이다.
  • 이란(JCPOA): 핵 합의는 검증 가능한 행동과 제재 해제를 직접 연결하는, 성과주의 모델의 좋은 예이다. 부분적인 제재 해제조차도 그 경제적 이익은 막대하며, 인센티브의 힘을 증명한다. 동시에, 이 합의의 취약성은 정치적 약속의 중요성에 대한 교훈도 주고 있다.
  • 복구 과제: 우크라이나에서의 파괴 규모는 헤아릴 수 없으며, 복구 비용은 5,24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동결된 러시아 자산을 이 복구 자금에 충당할지 여부의 논의는, 장래의 어떠한 화해에서도 중심적인 의제가 되어, 러시아의 책임과 우크라이나의 복구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다.

현재의 대러시아 전략에는 명확한 최종 목표가 결여되어 있다. 무기한 제재는 적대적인 유라시아 블록(러시아·중국·이란)을 영구적으로 고착시키고,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파편화를 가속화할 위험을 동반한다. 성공하는 전략은 단순한 징벌에서, 제재를 명확한 정치적 화해를 달성하기 위한 지렛대로 사용하는 ‘강압 외교’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러시아의 행동에서의 검증 가능한 변화와, 단계적인 정상화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지지받는 ‘출구 전략’이 필요하다. 제재의 효과는 인정되지만, 결정적인 타격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는 현상은 위험한 교착 상태를 낳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례는 제재가 정치적 전환의 지렛대로서 가장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란 핵 합의는 검증 가능한 단계와 구체적인 보상을 교환하는 ‘거래적’ 접근 방식의 모델을 제공한다. 이 논리를 러시아에 적용하는 것은, 현재의 ‘전면 제재냐, 제재 없냐’는 이원론적인 상태에서, 단계적이고 조건부적인 틀로 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야말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책임을 확보하면서 압력을 유지하고, 러시아 국내에서의 변화에 대한 인센티브를 낳는 유일한 방법이다.

2.3 거버넌스의 공백: 기술이라는 양날의 검을 제어하다

본 섹션에서는 사용자가 제안하는 이원적인 기술 거버넌스 시스템에 대해 분석한다.

  • 오픈 소스라는 공유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SS)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AI에 이르기까지, 현대의 거의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되고 있으며, 그 수요 측 경제 가치는 8.8조 달러로 추정되는, 극히 중요한 글로벌 공공재이다. 그러나 이 공유재는 유지 관리와 보안에 대한 투자 부족이라는 위협에 노출되어 있으며, 체계적인 위험을 낳고 있다. Log4Shell의 취약성은 하나의 무명한, 자원봉사자에 의해 유지되던 구성 요소의 결함이, 어떻게 전 세계의 디지털 인프라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이다.
  • 클로즈드 소스라는 방패: 동시에, 랜섬웨어 집단에서 국가가 지원하는 해커까지, 사이버 범죄의 고도화와 국경을 넘는 성격은 각국의 법 집행 기관의 능력을 능가하고 있다. 인터폴이나 유로폴을 통한 국제 협력은 필수적이지만, 법 제도 차이나 정보 공유 지연으로 종종 방해받고 있다. 이러한 국경을 넘는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항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는 전문적인 글로벌 조직이 필요하다.

여기서 핵심적인 과제는, 오픈 소스의 세계가 가진 혁신적이고, 분산적이며,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성질을 유지하면서, 거기서 발생하는 악용을 단속하기 위한, 중앙 집권적이고, 강력하며, 책임 있는 기관을 어떻게 창설할 것인가 하는 점에 있다. 이것은 디지털 시대에 자유와 안보의 균형을 맞추는, 고전적인 정치 철학의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현재의 디지털 거버넌스에 대한 접근 방식은 위험할 정도로 단편적이다. 우리는 글로벌하고 즉각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 세계를, 20세기의 국내법적인 틀로 규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사용자의 제안은 새로운 2층 구조의 글로벌 아키텍처의 필요성을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즉, 생산적인 디지털 공유재(OSS)의 ‘관리자’로서 기능하는 층과, 그것을 악용하는 파괴적인 힘에 대한 ‘집행관’으로서 기능하는 층이다. 이 두 기능은 공생 관계에 있다. 안전한 공유재가 있어야만, 혁신은 번영할 수 있다. OSS는 막대한 가치를 낳는 한편, ‘공유지의 비극’의 위험을 안고 있다. 여기에는 중요한 인프라에 대한 관민 공동의 자금 제공이라는, 관리 모델이 필요하다. 한편, 사이버 범죄는 글로벌하고 조직화된 위협이며, 여기에는 조직화된 강력한 대응이 요구된다. 글로벌 사이버 경찰 조직은 적대자에 대해 기술적 우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은 즉, 독점적인 클로즈드 소스 도구를 의미한다. 이 두 제안은 동전의 양면 관계에 있다. 한쪽이 선을 키우고, 다른 쪽이 악을 억제함으로써, 균형 잡힌 디지털 생태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제3부: 새로운 시대를 향한 청사진: 제안되는 타개책

본 섹션은 지금까지의 분석에서 구체적인 처방전을 제시하는 핵심 부분이며, 사용자의 질문에 직접 답하고, 선행 분석에 뿌리를 둔, 상세하고 실행 가능한 제안을 한다.

3.1 제안 1: 세계 경제 안정 협정(GESA) – 관리된 공존을 위한 21세기형 프레임워크

  • 개념: G20 하에서 운영될 것을 상정한 새로운 다자간 프레임워크. 다른 경제 모델 간의 구조적 경쟁을 관리하고,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불균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브레튼우즈 체제와 같은 고정 환율제로의 회귀도, 플라자 합의의 단순한 반복도 아닌, 정책 협조를 위한 동적인 시스템이다.
  • 주요 구성 요소:
  1. 확대된 감시 바스켓: 무역 수지나 환율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지표군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적자, 국내 저축·투자율, 산업 보조금 수준(WTO 개혁안 참조), 중요 광물 공급망 의존도, 그리고 수출의 탄소 집약도(CBAM과 같은 메커니즘과 연동) 등이 포함된다.
  2. 투명성과 동료 검토: 회원국은 이러한 지표에 관한 투명한 보고를 약속하고, G20, IMF, WTO의 합동 기술 기관에 의한 동료 검토를 받는다. 이로써 현재의 보조금 정책의 불투명성에 대처한다.
  3. 협조적 조정 메커니즘: 지표가 사전에 합의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구조적인 대화가 시작되어, 회원국은 정책 조정 패키지를 협상할 의무를 진다. 여기에는 협조적인 환율 개입, 특정 보조금의 단계적 삭감, 공급망 다양화에 대한 공동 투자, 무역상의 특혜와 기후 변화 대책에 대한 약속의 연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이론적 근거: GESA는 세계 경제의 안정이 더 이상 협조 없는 각국 정책의 우발적인 부산물이 될 수 없음을 인식하는 것이다. 상호 의존을 관리하고, ‘이웃 궁핍화’ 정책이 야기하는 무역 전쟁이나 불안정화를 방지하기 위한 공식적인 프로세스를 창설한다.

표 2: 세계 경제 안정 협정(GESA)의 프레임워크

기둥

목적

주요 지표

메커니즘/포럼

주요 주체

1. 거시 경제·금융 안정

환율의 과도한 변동과 세계적인 불균형을 시정한다

경상수지(GDP 대비), 실질 실효 환율, 외환 보유고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IMF에 의한 연차 감시

G20, IMF, 각국 중앙은행

2. 산업·무역 정책

공정한 경쟁 조건을 확보하고, 유해한 보조금 경쟁을 방지한다

산업별 보조금액, 국유기업의 국내 경제 점유율, 시장 접근 장벽

WTO/OECD 공동 보고서에 기반한 G20 무역장관 회의, 중대한 위반에 대한 분쟁 해결 메커니즘

G20, WTO, OECD

3. 공급망·자원 안보

중요 물자의 공급망을 다양화하고, 강인성을 높인다

중요 광물의 특정국에 대한 의존도, 중요 기술의 생산 점유율

G20 주도의 ‘중요 광물 안보 파트너십’ 확대, 공동 비축·투자 메커니즘

G7/G20, IEA, 관련 기업

4. 기후·무역 연계

탄소 누출을 방지하고, 글로벌 기후 목표와 무역 규칙을 정합시킨다

수출의 탄소 집약도, 국내 탄소 가격

CBAM에 관한 다자간 협상 포럼 설립,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자금 지원

G20, UNFCCC, WTO

3.2 제안 2: 러시아의 재통합을 향한 성과주의적 로드맵

  • 개념: 현재의 제재에 의한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공식적이고 다단계적인 로드맵. 러시아의 구체적이고, 검증 가능한 행동과, 국제 사회에 의한 상호적인 행동을 연동시킴으로써, 러시아의 정상화로 가는 조건부 길을 창설한다. 이로써 최대한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명확한 ‘출구 전략’을 제공한다.
  • 주요 구성 요소:
  1. 우크라이나 복구·배상 기관(URRA) 설립: 우크라이나, G7, 그리고 중립국(예: 스위스)이 공동 의장을 맡는 국제적인 감독 기관을 설립하여, 모든 복구 자금을 관리한다. 그 첫 자금원은, 이미 시작된 것처럼, 동결된 러시아의 국가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익으로 한다.
  2. 단계적인 제재 완화: 러시아의 행동과, 자산 동결 해제나 제재 해제를 연동시키는 상세한 로드맵. 이것은 거래적이고 가역적인 것으로 한다.
  3. 안보 아키텍처: 최종 단계에서는, 분쟁의 근본 원인에 대처하기 위해, 병력 배치 제한이나 새로운 검증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새로운 유럽 안보 조약의 협상을 실시한다.
  • 이론적 근거: 이 제안은 역학을 징벌에서 해결로 전환시킨다. 러시아의 재통합을, 러시아 자신이 만들어낸 문제의 해결(우크라이나의 재건)에 대한 기여에 의존하게 함으로써, JCPOA나 아파르트헤이트 후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조건부, 성과주의적 접근 방식에서 교훈을 얻는다.

표 3: 러시아의 재통합을 향한 로드맵

단계

러시아에 요구되는 행동(검증 가능)

상응하는 제재 완화/인센티브

URRA의 역할

장기적인 안보 목표

단계 1: 정전과 철수

포괄적 정전 준수, 우크라이나 영토로부터의 전군 철수 검증

일부 금융 제재(SWIFT 일부 재연결 등)의 일시 정지, 인도 지원 물자 수입 제한 완화

정전 감시단에 대한 협력, 초기 손해 평가 실시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감시 임무 재개

단계 2: 책임과 배상

국제적인 전쟁 범죄 법정에 대한 전면 협력, 동결 자산의 대부분을 URRA의 관리 하에 이관

비국가 자산 일부 동결 해제, 특정 국제 포럼(과학 기관 등)에 대한 재가입 허가

동결 자산 수령과 복구 프로젝트에 대한 배분 시작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보장하는 국제적 메커니즘 확립

단계 3: 정상화와 새로운 안보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완전히 승인, 새로운 유럽 안보 조약에 서명 및 비준

남은 경제 제재의 단계적 해제, G8/G20으로의 복귀를 향한 협의 시작

복구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실시와 장기적인 경제 협력 조정

신뢰 구축 조치와 군비 관리를 포함하는 새로운 유럽 안보 조약 발효

3.3 제안 3: 디지털 커먼즈와 글로벌 사이버 보안 실드 이니셔티브

  • 개념: 일반·상업 기술과 안보 기술을 분리한다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글로벌 기술을 관리하기 위한 2층 구조의 거버넌스 모델.
  • 제1층: 디지털 커먼즈 재단(DCF)
  • 임무: 중요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인프라의 글로벌 관리자로서 기능한다.
  • 구조: 각국 정부(GDP 대비 기여)와 주요 기술 기업으로부터의 자금 제공에 의한 관민 공동 컨소시엄.
  • 기능: 중요한 OSS 프로젝트의 전문적이고 상근적인 유지 관리와 보안 감사에 대한 자금 제공,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표준 책정, OSS 거버넌스를 둘러싼 분쟁 해결을 위한 중립적인 포럼 제공.
  • 이론적 근거: 이로써 극히 중요한 글로벌 공공재의 보호가 제도화되고, ‘공유지의 비극’의 위험이 완화되며, 모든 국가가 의존하는 디지털 경제의 안정이 확보된다.
  • 제2층: 세계 사이버 범죄 대책 기관(WCA) – ‘실드’
  • 임무: 국경을 넘는 사이버 범죄 네트워크(랜섬웨어, 금융 사기, 테러 자금 조달)를 적극적으로 수사, 방해, 해체한다.
  • 구조: 인터폴의 권한을 확대한 하에서 활동하는 실동 기관으로 하고, 회원국에서 파견된 엘리트 사이버 보안 전문가로 구성된다.
  • 능력: AI와 데이터 융합을 활용한, 독자적인 독점 클로즈드 소스의 첩보 분석 플랫폼을 보유한다. 이 기술은 공동으로 개발되지만, 확산을 방지하고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엄격한 국제 관리 하에 놓인다. WCA는 국경을 넘어 불법적인 디지털 자산(예: 암호화폐)을 압수하는 조정 권한을 가진다.
  • 이론적 근거: 이로써 각국의 기관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국경을 넘어 범죄자를 추적하기 위한 기술적 우위성과 법적 권한을 가진 글로벌 ‘집행관’이 창설된다. 그 도구의 클로즈드 소스성은 적대자에 대한 작전상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결론: 무제약적인 경쟁에서 관리된 공존으로

본 보고서의 분석과 제안을 통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린 세계화의 시대는 끝났다. 다음 25년의 결정적인 과제는 영속적이고 공공연한 경쟁이 존재하는 세계를 위한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것이다.

제안된 3가지 이니셔티브 – GESA, 러시아의 재통합 로드맵, 그리고 디지털 거버넌스 이니셔티브 – 는 각각 독립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더 강인한 새로운 국제 시스템의 3가지 핵심적인 기둥으로서 제시된다.

본 보고서는 현실적인 낙관주의로 마무리한다. 일극 집중의 질서로의 회귀는 불가능하며, 조화로운 세계적인 합의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관리된 공존, 명확한 참여 규칙, 그리고 공유된 존망에 관한 위협에 대한 강력한 협력에 기반한 안정된 미래는, 필수 불가결하면서도, 달성 가능한 것이다.

引用文献

  1. Supply Chain Resilience and the Effects of Economic Shocks | Richmond Fed, 9月 2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richmondfed.org/publications/research/economic_brief/2025/eb_25-02
  2. China’s Role in Supply-Chain Strategies | MSCI, 9月 2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msci.com/research-and-insights/blog-post/china-role-in-supply-chain-strategies
  3. How is China Integral to the Global Supply Chain? The Unstoppable Force – HROne, 9月 27, 2025にアクセス、 https://hrone.com/blog/how-is-china-integral-to-the-global-supply-chain-the-unstoppable-force/
  4. The trade balance and the real exchange rate – BIS Quarterly …, 9月 2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bis.org/publ/qtrpdf/r_qt1109e.pdf
  5. Country Case Studies (Part II) – Industrial Policy for the United States, 9月 27, 2025にアクセス、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industrial-policy-for-the-united-states/country-case-studies/84D7065CEDE486DCB4E035B5397DF5D9

コメント

タイトルとURLをコピーしました